통하는 인천/인천역사

제95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기념일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4. 11. 09:30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제95주년 수립기념일




***




1910년 일제에 의한 국권피탈로 우리민족은 반만년 역사 그 어느때보다 뼈아픈 식민통치의 시기를 겪게 됩니다. 우리 민족의 대한독립에 대한 열망은 1919년 3.1운동으로 표출되었고, 이후 3.1운동에서 보여준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이 정신을 계승하여 일본통치에 대한 조직적 항거를 펼치기 위하여 1919년 4월 13일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선포합니다. 오늘은 임시정부의 수립을 선포한지 95주년 되는 해로 우리정부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역사적 의의를 계승·발전하기 위해 이 날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하였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란?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우리 민족이 주권국민으이라는 뜻을 표하고, 독립정신을 집약하여 일제의 무단통치에 대항하고자 탄생하였습니다. 1919년 각도의 대의원 30명이 모여서 임시헌장 101개조를 채택하고, 한성임시정부와 통합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을 선포합니다.


초대내각에는 임시의정원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습니다.



[출처 : 네이버백과사전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45년 8월15일 광복이 되기까지 중국의 상하이와 창사, 광저우, 충칭 등의 지역으로 일제의 탄압을 피해 청사를 옮기며 광복운동을 전개하게 됩니다

 


[출처 : 네이버백과사전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운영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청사가 국외에 있는 관계로 국내 및 국외의 동포를 모두 관할하기 위해 교통국에 연락기관을 두었고, 국내에는 지방행정제도인 연통제를 실시하였으며, 국외에는 거류민단을 설치하였습니다. 연통제는 법령 및 공문의 전포, 군인모집, 시위운동계획, 애국성금 각출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국내 북부지역에서주로 활동하였으며, 중부일부지역에서는 대한독립애국단, 중부이남지역에서는 대한민국청년외교단이 그 역할을 대행하였습니다.


임시정부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재정기반도 마련되어야 했는데,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는 구급의연금과 인두세를 걷고 또 국내외에 공채를 발행하였습니다. 그러나 공채는 아일랜드에서 발행한 500만 달러의 공채만 성공하였고, 초기재정의 경우 재미교포들의 성금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출처 : 네이버백과사전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


외교부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독립의 정당성을 위해 활발한 외교활동을 펼쳤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대미외교에 집중하고, 종전기에는 대중외교가 주류를 이루게 됩니다. 외교활동을 살펴보면 1919년 스위스에서 열리는 만국사회당대회에서 한국독립승인결의안을 통과시키고, 1921년에는 워싱턴에서 개막된 태평양회의에서 한국국민의 상황에 세계여론에 알렸습니다. 1928년에는 미국의회에 한국문제를 상정시키게 됩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1943년 카이로회담에서 연합국측은 한국의 독립을 정식으로 승인하게 되고, 1944년 프랑스, 폴란드, 소련정부는 주중대사관을 통해 임시정부의 승인을 통고하며, 1945년 포츠담선언에서 한국의 독립은 다시 확인되었습니다.


항일부분

일제에 항거한 항일독립전쟁은 의열투쟁과 독립군단체지원, 광복군창설 등의 군사활동으로 이뤄졌으며, 의열투쟁의 대표적인 사례는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입니다. 의열단의 행동은 한국독립의 대한 여론을 대외적으로 널리 알리게 되며, 이와 아울러 임시정부는 일제의 보복을 피하여 청사를 여러차례 이동하여야만 하였습니다.


군사부분

군사활동을 살펴보면, 1920년 상하이에 육군무관학교, 비행사양성소, 간호학교 등을 세워 군사를 양성하며, 중국군관학교에 군인을 파견하여 교육시키고 만주에 있는 독립군을 후원하였습니다. 충청청사 시기에는 광복군을 창설하여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고 연합군의 일원으로 미얀마, 사이판, 필리핀 등지에서 추측국측에 대항하였습니다. 이후 1944년 중국과 새로운 군사협정을 체결하고 독자적인 군사행동권을 더으며, 1945년 국내진입작전의 일환으로 국내정진국 총지휘부를 설립하고 미국OSS부대와 합동작전으로 국내진입을 계획하던 중 광복을 맞게 됩니다.



[출처 : 네이버백과사전 '대한민국임시정부']



광복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광복이후 단체의 자격으로 국내 귀국이 불가하여 주요간부들은 개인자격으로 귀국하였으며, 국내의 혼란으로 인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각과 정책 등은 계승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임시정부의 지도이념인 자유주의와 삼균주의는 1948년 대한민국헌법에 반영되어 대한민국 헌법의 기초이념이 되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헌법 전문에는 ‘3.1운동으로 건국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라고 하여 임시정부가 대한민국에 독립의 모태가 되고, 대한민국 건국의 정신적·사상적 기반이 되어 있음을 명시하였습니다.




***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제95주년 수립기념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