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 인천/똑똑! 생활정보

[생활정보]20개 긴급전화 '112·119·110' 3개로 통폐합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1. 29. 11:00

 

 

 

1366, 1399, 1544-4500번 이런 전화번호 이용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조금은 생소한 번호죠?

 

여성폭력과 불량식품, 가스사고 신고 전화라고 합니다.

 

이렇게 잘 사용하지 않는, 잘 알려지지 않아 모르는 신고전화가 너무 많아 혼란을 주고 있는데요,

내년부터 20종에 이르는 긴급 신고전화가 " 112, 119 "로 통합됩니다.

 

또 긴급출동이 필요하지 않은 각종 민원이나 상담전화는 " 110 "로 단일화해

필요한 기관에 자동 연결되도록 개편됩니다.

 

 

 

실제로 안전처가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에서도

약 80%의 국민이 신고전화의 수가 너무 많고

90%는 신고전화 수를 줄여야 한다고 밝혀

국민 대다수가 신고전화 통합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럼 어떤 긴급 신고전화번호들이 통합되는지 알아볼까요?

 

 

 112로 통합되는 긴급 신고전화

 

 

112(범죄). 182(미아신고), 1301(범죄‧검찰), 1399(불량 식품), 117(학교 폭력),1366(여성 폭력),

1388(청소년 상담), 1577-1389(노인 학대), 1577-0199(자살, 정신건강), 1303(군위기‧범죄신고),

125(밀수‧관세), 118(사이버 테러)등 신고 전화 12개

 

 

 

 

119로 통합되는 긴급 신고전화

 

 

119(재난‧구급‧구조), 122(해양‧사건‧사고), 1588-3650(재난), 128(환경오염),

1544-4500(가스), 123(전기), 1588-7500(전기), 121(수도)등 8개 번호

 

 

 

 

이러한 긴급 신고전화 통합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로 OECD 34개국 중,

신고전화를 통합하지 않은 나라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 노르웨이 · 이스라엘 · 멕시코 · 칠레

6개국에 불과하다고 하네요...

 

이제 내년이면 우리나라도 긴급 신고전화를 통합하니,

5개나라로 줄겠네요^^;;;

 

그간 논의과정에서 범죄 · 재난 긴급전화는 911 단일번호로 통합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되었으나

여러가지 문제점을 고려해    " 112, 119 " 번호체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되었다고합니다.

 

저도 신고전화하면, 112, 119가 제일 먼저 떠오르네요!

언제부터인가 각인이 되었나봐요...

 

112와 119 모두 인지도가 99%로 오랜 기간 국민들에게 익숙해 둘 중 하나의 번호를 없앨 경우

오히려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과 대형사고시 발생할 수 있는 통화량 폭주현상에

 " 112, 119 " 복수 신고전화 운영시 상호간 보완성 확보로 긴급신고 처리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되어 결정하였다고 합니다.

 

2015년부터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