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어린이 약시 급증!예방법과치료법은?
어린이 약시 급증!예방법과치료법은?
어린이 약시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약시는 각막과 수정체, 망막, 시신경 등은 정상이지만
시력이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안경으로 시력을 교정해도 0.8 이하로 시력이 좋아지지 않고
양 눈의 시력차이가 큰 경우가 많습니다.
약시는 시력이 발달하는 8세 이전에 치료를 받아야 효과가 좋습니다.
따라서 3~4세 어린이는 안과를 찾아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2009년 ~ 2013년 인구 100만 명당 약시 환자가 가장 크게 증가한 연령층은
4세 이하로 매년 14.3% 늘었습니다.
5~9세는 매년 5.7%씩 늘어 전체 평균인 1.3% 웃돌았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제공
4세 이하 어린이 약시 환자가 급증한 데에는 조기진단의 영향과
어린이 안과검진의 중요성이 많이 언급되고 영유아검진으로 시력검사를 해
시력이 나쁜 경우 조기에 안과 검진을 받는 어린이가 많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국내 약시 환자는 2009년 2만 220명 ▶ 2013명 2만 1771명으로 증가↑
인구 100만 명당 환자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5~9세의 어린이 약시로
5089명이 진료를 받았습니다.
10대 : 885명 / 4세 이하 : 821명
약시는 양쪽 눈에 굴절 상태의 차이가 있거나 사시가 있을 경우 생길 수 있습니다.
눈꺼풀이 처지거나 백내장 등의 질환이 있어 한 쪽 눈의 시 자극이 차단될 때도 발생합니다.
대개 한쪽 눈에만 생기는데, 진단 결과 굴절이상이 있으면 안경을 착용하도록 하거나
시력이 좋은 쪽의 눈을 가려 약시가 생긴 눈을 사용하도록 하는 '가림치료'를 합니다.
가림치료가 불가능하면 시력이 좋은 눈에 조절마비안약을 넣어
가까운 거리를 볼 때 약시가 있는 눈을 사용하도록 유도합니다.
약시는 시력 발달이 완성되는 8세 이전에 치료하면 정상시력을 회복할 수 있지만,
이 시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시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멈춰
평생 시력저하상태로 살아가야 하니 꼭 약시 치료를 해야합니다.
[어린이 약시 예방법과 치료법]
1. 눈 가림치료(차안법) |
사시와 약시가 함께 있다면 한쪽 눈을 가리는 눈 가림 치료가 매우 효과적입니다. 시력이 비교적 좋고 눈동자의 위치가 정상적인 눈을 가림으로써 시력이 나쁘고 돌아가는 눈을 자꾸 사용하게 해서 기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입니다. 안대 같이 생긴 스티커로 비교적 건강한 눈을 가리는 치료로 약시의 정도에 따라 하루 종일 또는 하루에 몇 시간씩 가리고 지내면 되는데, 아이가 어릴수록 가림 치료의 효과가 큽니다.
|
2. 안경 |
내사시와 원시가 동시에 있는 경우에는 교정이 효과적입니다. 안경의 굴절에 의해 초점이 망막에 정확하게 맺히게 하여 눈이 안쪽으로 몰리는 것을 교정해줍니다. 안경만으로 시력과 사시를 모두 교정하기도 하지만 약시가 있는 경우 안경 사용과 가림 치료를 동시에 하기도 하고, 수술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
3. 사시교정수술 |
사시교정수술은 한쪽 눈 또는 양쪽 눈의 근육 등을 조절해주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입니다. 전신마취 후 수술을 진행하지만 보통 수술 다음날 바로 퇴원하며, 외래를 통해 경과를 확인하게 됩니다. 수술 후 특별한 안정은 필요하지 않으며, 이를 뒤면 바로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합니다. 경우에 따라 재수술을 요하거나 안경이나 눈 가림 치료를 병행할 수도 있습니다.
|
한쪽 눈의 약시가 있어도 반대편 좋은 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만 3~4세에는 안과검진을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