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식증 예방]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란?
안녕하세요, 인천시청입니다.
여름이라 다이어트에 신경써야하고 식욕도 없고...
극단적으로 끼니 거르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텐데요.
혹시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흔히들 '거식증'이라고 부르는 대표적인 섭식장애의 하나인데요.
여름에 다이어트 관련하여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병으로 주의를 하셔야겠습니다.
거식증이란 무엇이며 증상과 원인이 어떻게 되는걸까요?
거식증은 살을 빼려는 지속적인 행동, 체중 감소, 음식과 체중과 연관된 부적절한 집착,
음식을 다루는 기이한 행동, 살이 찌는 것에 대한 강한 두려움
그리고 무월경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생물학적, 사회적, 심리학적 요인이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주 원인이라고 하는데요.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통계 편람 진단 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증상을 모두 보일 경우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진단합니다. 다음과 같이 제한형과 폭식 및 제거형으로 유형을 세분화합니다. 즉, 스스로 유도하는 구토 또는 하제, 이뇨제, 관장제의 남용이 없음. 단지 음식물 섭취만을 거부. 즉, 스스로 유도 구토 또는 하제, 이뇨제, 관장제를 남용. 거식증 예방 및 치료 거식증의 경우는 정신과적 문제뿐 아니라 심각한 내과적 문제가 동반되어 내과적 응급을 요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필요한 경우 입원 등을 고려한 포괄적인 치료 계획이 수립되어야 합니다. 개인 및 가족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지요. 인지 행동요법 등의 정신치료적 접근과 더불어 적절한 약물치료가 고려되어야 합니다. 기타 내과적 문제가 심각한 경우에는 특히나 입원을 늦추어서는 안된다고 합니다.
1) 연령과 신장에 비하여 체중을 최소한의 정상 수준이나 그 이상으로 유지하기를 거부.
2) 낮은 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중 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가짐.
3) 체중과 체형을 보는 방식이 왜곡되고, 현재의 낮은 체중의 심각함을 부정.
4) 월경이 시작된 여성이 무월경, 즉 적어도 3회 연속적으로 월경 주기가 없음.
신경성 식욕부진으로 진단한 후
1) 제한형: 규칙적으로 폭식하거나 하제를 사용하지 않음.
2) 폭식 및 제거형: 규칙적으로 폭식하거나 하제를 사용함.
일반적으로 자기 키에 의해 예상되는 몸무게에 20% 이하인 경우나
'플러스 인천 > 튼튼!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정보] 열피로의 증상! 여름철 건강 주의 (0) | 2015.08.10 |
---|---|
[건강 정보] 무릎 관절에 좋은 운동과 음식! (0) | 2015.08.03 |
[초복 음식] 복날 음식 먹고 더위를 이겨봅시다! (2) | 2015.07.13 |
[건강정보] 산딸기의 효능, 손질법과 맛있게 먹는 법 (0) | 2015.06.29 |
메르스 행동수칙! 이것만 알면 문제 없다! (4) | 201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