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들지 않는 꽃이 대세~! 기념일을 위한 친환경 비누꽃 이야기
갓 태어난 아이부터 졸업과 입학, 입사와 생일 등에 쓰이는 꽃다발.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은 기념일을 빛내는 단골손님이다. 눈부신 생화보다 더 매혹적인 향기와 수명을 자랑하는 꽃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비누로 꽃을 만드는 사람들을 찾아보았다.
내 이름은 비누꽃 생화. 그 생생한 아름다움에 비할 꽃이 세상에 과연 또 있을까. 자연미와 은은한 향의 조화로 자태를 뽐내는 생화꽃다발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들이 있다. 인천 남구 토지금고 시장 뒤편에 자리한 마들렌플라원카페공방의 꽃을 만드는 사람들이다. 이곳에는 신혼티를 갓 벗은 듯한 젊은 여사장 김정미 대표가 꽃집을 열고 있다. 영하의 날씨에도 아랑곳없이 공방 안에는 형형색색 꽃들의 벙글거림으로 넘쳐난다. 게다가 뒤따라오는 향기는 꽃의 생김새에 화장을 한 듯 매력을 더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56A0A45511C65472D)
공방 안에 꽃들은 언뜻 보기에 일반 생화처럼 보인다. 하지만 살짝 손을 대보면 기존 꽃과 또 다른 질감에 놀란다. 비닐로 만든 조화도 아니다. 모양은 생화와 다를 바 없다. 공방의 김 대표는 “비누꽃이라고 해요. 비누꽃은 수년전부터 있어왔지만 아무래도 경기가 안 좋아지면서 사람들이 급속히 찾게 된 것 같아요. 생화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반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한 점이 특징예요”라고 말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2527742511C655C05)
값, 향, 수명, 처리비용 모두 우세 비누꽃은 한마디로 비누자체를 재료로 한다. 꽃의 꽃잎 하나하나가 모두 비누다. 여기에 색상과 향, 모양을 달리하면 꽃 종류도 새롭게 태어난다. 한 송이의 비누 꽃을 들어보자 생화에서 느끼지 못한 볼륨감으로 인한 안정감까지 다가온다. 비누꽃은 비누로 만들었기 때문에 생화처럼 사용 후 폐기하지 않아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기념으로 반영구적으로 보관도 가능하다. 시들거나 향이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119F841511C656E03)
무엇보다 비누꽃의 장점은 가격에 있다. 겨울철 생화의 가격은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모른 척 할 만큼 높아 부담인 게 사실이었다. 김 대표는 “최근 들어 생화시장에도 변화가 있어요. 일반 장미나 안개꽃 등에서 유럽형 고급 꽃들을 선호하기 때문에 비용 또한 같이 올라가죠. 반면 비누꽃은 재료 자체가 기후나 물가로부터 안정적이기 때문에 부담없이 이용하는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따라서 비누꽃은 선물로 받은 후, 방에 걸어두거나 화장실이나 승용차 안에 방향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선물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주문도 가능하다. 특히, 학생들은 부담없이 한 송이 꽃을 선물하고 싶을 때 비누꽃을 선택한다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671445511C658634)
시대 흐름과 유행을 타는 꽃의 세계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10년째 꽃집을 해온 김 대표. 그가 비누꽃을 시작한 계기는 아기의 아토피성 피부염 때문이었다. 친환경비누를 만들어 사용하면서 비누의 세계에 발을 들어놓은 케이스다. 그는 그 후 인터넷쇼핑몰을 병행하면서 공방을 차린 일은 잘한 선택이라고 여긴다. 공방에는 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차를 마시러 온다. 또 인근 용현여중 학생들이 창의체험활동을 위해 비누꽃을 배우러 오기 때문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150AE42511C659809)
김 대표는 “꽃도 종이꽃처럼 유행을 타요. 옛날에는 붉은 장미가 대세였죠. 또 포장도 꽃보다 더 크고 화려했잖아요. 하지만 지금은 소비자 감각이 세련되고 실용적으로 변했어요. 물론 친환경적인 면도 중요하게 생각해요”라고 말했다. 꽃다발, 달걀비누꽃, 꽃바구니부케, 한 송이 등등 다양한 비누꽃의 세계. 기념일 비누꽃도 생화처럼 영원한 향기로 남고 싶어하는 듯하다. (문의 : 032-882-5278)
김정미 객원기자 jacall3@hanmail.net
자료 : 인천광역시 인터넷 신문 |